연구소장

정경영

정경영은 서울대학교 작곡과에서 이론을 전공하고 대학원에서 음악학으로 석사를 받았다. University of North Texas에서 “Reconsidering the Lament: Form, Content, and Genre in Itlaian Chamber Recitative Laments, 1608-1640”이라는 논문으로 음악학 박사학위(Ph.D., Musicology)를 받았다.

울산대학교 겸임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학술연구교수를 거쳐 현재는 한양대학교 작곡과에서 음악사를 가르치고 있으며, 2015년부터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몬테베르디를 비롯한 17세기초 성악음악작곡가들의 작품에 관심이 있으며, 더 나아가 이 시기의 음악, 가사, 춤의 상호관계를 살펴 그것이 어떻게 서양음악사에서 근대성 정초와 관련있는지를 주로 살핀다. 이 밖에도 철학적 해석학(philosophical hermeneutics)를 바탕으로 음악사 서술의 문제(historiography)에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연주 관행(performing practice) 역시 주요 관심사이다.

최근에는 기존의 관심 외에도 현대의 달라진 음악적 환경과 미디어, 사회적 문맥이 어떻게 인간에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소리, 소리환경, 소리가 만들어 내는 주체성의 문제에 천착하고 있다.

학문적 활동 외에도 음악회 해설, 방송, 강연을 통해 음악과 그 감동을 말로 ‘번역’하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Director of Music Research Center
Kyung-Young Chung

(Professor of Music, Department of Composition)

Kyung Young Chung, Director of the Music Research Center at Hanyang University, is a musicologist and professor at Hanyang University. He earned his bachelor’s and master’s degrees in musicology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completed his doctorate at the University of North Texas with a disser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17th-century music and lyrics. His research focuses on the symptoms of musical modernity in Western music and how these influence the present. Recently, he has expanded his interest to sound studies, examining the diverse social differences conveyed through sound including those related to gender, class, and age and delving into issues related to sound design and public sound art. In addition to research, he is actively involved in sharing musicological knowledge with the public through various outreach activities.

학술대회 발표 (2020년 이후)
  • 2025.07. “From Coldplay to Purcell: Music Videos as a Bridge between Classical and Popular Music.”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opular Music (IASPM) Conference. Paris, France, July 7-11, 2025.
  • 2024.11. “Listening to the Silent Reading.” IV International Conference Rethinking Soundscapes: Communities, Heritage, and Traditions + 4th Meeting of the ICTMD National Committee. Évora, Portugal, November 28, 2024.
  • 2023.12. “소리나는 건축, 들리는 환경.” 『Sound, Art, Life: 사운드아트를 일상으로』. 광화문 트윈트리 타워, 2023년 12월 16일.
  • 2023.10. “Making the ineffable Effable: Technology and Techoique of Listening of ASMR.” 2023 International Musicological Society East Asia, Tainan Art Museum, Taiwan. 2023. 10. 27-29.
  • 2023.06. “Chat GPT 시대의 음악(예체능) 교육혁신방안.” 『Chat GPT 세미나』.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2023년 6월 7일.
  • 2022.12. “청취와 소리의 정치학.” 『제1차 네트워킹 심포지엄』. 한양대학교, 2022년 12월 22일.
  • 2022.11. “소리와 기억: 소리의 근대성과 청취의 기술.” 『트랜스내셔널 인문학 연구소 콜로키움』. 서강대학교, 2022년 11월 24일.
  • 2022.10. “소리와 환경의 재발견.” 『생태예술의 본질 탐구를 통한 예술교육방안의 모색』. 한국교원대학교, 2022년 10월 26일.
  • 2022.07. “음악을 글로 배우고 말로 설명하다: 음악해설자의 일과 꿈.” 『노스텍사스 음악대학 동문연주회 10주년 기념 학술대회』. 제주대학교, 2022년 7월 22일.
  • 2022.07. “Muzak, Some Perspectives from the Affect Theory.”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opular Music XXI 2022. Daegu, Korea, July 5-9, 2022.
  • 2021.11. “청취의 기술과 세대의 문제.”『소리와 청취의 정치학 III』. 화상회의 플랫폼 Zoom, 2021년 11월 13일.
  • 2021.08. “퍼셀의 <디도와 에네아스>(1689) 다시 듣기.” 『음악미학연구회 2021 학술포럼』. 유튜브 공개, 2021년 8월 27일.
  • 2019.08. “음악학에서 소리연구로.” 『21세기 한국음악학: 지형, 실천, 횡단』. 성신여자대학교, 2021년 8월 31일.
  • 2017.11. “하인리히 쉿츠의 제2작법: O quam tu pulchra es의 경우.” 『종교개혁과 근대 초기의 서양음악』. 2017년 11월.
  • 2017.06. “영화로 다시 든는 몬테베르디: <Th Full Monteverdi>(2007)의 목소리(들).” 『다시 듣다』(RE:HEARING_ From the Virtual to the Real).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리사이틀홀, 2017년 6월 10일.
  • 2016.12 “프랑스 바로크의 궁정 춤(음악)과 몸의 정치학”.바로크 예술의 코드: 춤, 조각 그리고 그림』. 2016년 12월 10일.
  • 2016.07. “Why Noise Matters (to Musicologists): Aesthetic, Ecological, and Sociological Investigatio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Aesthetics 20. Seoul, Korea, July 25, 2016.
  • 2016.05. “소음, 음악학의 나머지.” 제79차 한국서양음악학회 학술 포럼. 성신여자대학교, 2016년 5월 21일.
  • 2012.11. “무지카 프라티카: 음악의 텍스트, 이론, 그리고 연주.” 아르스 프라티카. 한양대학교, 2012년 11월.
  • 2012.09. “음악사 연주하기: 음악사 서술의 새로운 이해.” 서양음악학회 서양음악학회 제65차 정기학술포럼. 2012년 9월 15일.
  • 2011.10. “Dance Music in Bach’s B minor Mass.” 제4회 바흐국제학술심포지움. 한양대학교, 2011년 10월 29일.
  • 2011.04. “한국현대음악의 역사와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의 위상.” 천진음악학원 학술대회. 천진대학교, 2011년 4월.
  • 2009.10. “몸의 수사학, 음악의 수사학: 바로크 부레의 경우.”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제3회 바흐국제학술심포지움. 한양대학교, 2009년 10월 24일.
출판 목록 (2022년 이후)
저서
  • 2025(공저). 『듣기의 철학: 우리는 무엇을 듣고, 듣지 않는가』. 서울: 곰출판.
  • 2024(공저). 『음악을 그리는 열두 담화』. 서울: 모노폴리.
  • 2021. 『음악이 좋아서 음악을 생각합니다』. 서울: 곰출판.
논문
  • 2005. “라멘트, 혹은 슬픔의 형식: 몬테베르디의 ‘아리아나의 라멘트’와 ‘님프의 라멘트’를 중심으로” 『서양음악학』 8, pp. 29-54.
  • 2005. “‘제2작법’ 되읽기” 『낭만음악』17/4, pp. 199-222.
  • 2006. “음악수사학(rhetoric)에 대한 수사학(historiogrphy)적 접근 『낭만음악』 18/4, pp. 49-66.
  • 2007. “바흐의 <B단조 미사> 중 ‘크루치 픽수스’에 대한 소고-음악, 가사, 그리고 그 너머” 『서양음악학』 10/1, pp. 97-115.
  • 2007. “춤과 음악의 간극: 루이14세 시대의 미뉴엣을 중심으로” 『서양음악학』10/3, pp. 97-126.
  • 2008. “‘춤-음악’으로서의 사라방드: 기원, 역사, 형식” 『서양음악학』11/3, pp. 39-66.
  • 2008. “오래된 음악에 대한 새로운 논쟁-역사주의적 연주와 음악사 쓰기” 『음악학』16, pp. 33-52.
  • 2009. “춤의 수사학(rethoric), 음악의 수사학(historiogrphy): 바로크 부레의 경우” 『음악논단』 23, pp. 47-68.
  • 2010. “근대를 위한 몸짓: 바로크 시대의 춤과 음악” 『음악논단』24, pp. 79-113.
  • 2010. “음악 안의 공간, 공간 안의 음악-근대 이전과 근대의 음악과 공간 개념에 대한 역사적 스케치” 『음악학』18-1, pp. 7-35.
  • 2011. “바로크 음악사에 대한 편사학적 접근” 『음악논단』 26, pp. 21-48.
  • 2012. “춤(음악)의 지표, 형식, 내용-J.S.바흐의 <B단조 미사> 중 “Gloria in excelsis Deo’의 경우” 『서양음악학』 15/1, pp. 11-36.
  • 2013. “음악사 연주하기: 음악사 서술의 해석학적 이해” 『서양음악학』 16/3, pp. 41-60.
  • 2014. “장르의 수사학(rhetoric), 양식의 수사학(historiogrphy): 몬테베르디의 <탄크레디와 클로린다의 싸움>(1624)를 중심으로” 『음악논단』 31, pp. 33-78.
  • 2015. “‘Oracollo della Musica’ 혹은 몬테베르디의 음악적 근대성: 몬테베르디, 베르트, 마렌치오의 <Cruda Amarilli>를 중심으로” 『음악이론연구』 24, pp. 36-78.
  • 2015. “역설적 감정의 다성적 노래: 몬테베르디의 ‘Ah dolente partita’의 경우 『음악논단』 34, pp. 1-34.
  • 2016. “몬테베르디의 음악에서 나타나는 ‘순환적’ 공간과 ‘직선적’ 공간: <오르페오> 3막의 ‘위대한 정령이여’를 중심으로” 『음악이론연구』 26, pp. 8-31.
  • 2016. ““Voce si amara,” 몬테베르디의 소음: 《포페아의 대관》(L’incoronatione di Poppea, 1642)의 1막 3장을 중심으로” 이화음악논집』 20/3, pp. 1-34.
  • 2016. “충돌하는 매체의 역사성: 딘디아(Sigismondo d’India)의 《올림피아의 라멘토》(Lamento d’Olimpia, 1623)에 사용된 가사와 음악” 음악이론연구』 27, pp. 8-33.
  • 2018. “표제음악으로서의 미뉴엣: 프랑수아 쿠프랭(François Couperin, 1669-1733)의 경우” 음악논단』 40, pp. 1-34.
  • 2019. “음악학에서 소리연구(Sound Studies)로” 음악과 문화』 41, pp. 49-77.
  • 2020. “사이 공간’(in-betweeen space)에서의 소리, 공간, 이동의 상관성 연구: 인천국제공항의 사례를 중심으로” 『음악논단』 43, pp. 197-225.
  • 2021. “길들여진 ‘운명’의 소리: 퍼셀의 《디도와 에네아스》(Dido and Aneas)” 『음악이론연구』 37, pp. 11-37.  
  • 2022(공저). “소리 세대(sonic generation):엔텔레키, 테크놀로지, 감성의 공동체.” 『음악논단』 47, pp. 57-90.
  • 2022(공저). “매개된 소리의 시간: 계몽주의 시대 오케스트라(Orchestra of the Age of Enlightenment)의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이화음악논집』 27/2, pp. 145-176.
  • 2024. “샤르팡티에의 종교음악, 혹은 음악적 근대의 잃어버린 고리: 《마니피캇》 H73을 중심으로.” 『음악이론연구』 43, pp. 11-36.